[대한민국 제1호] ![]() ![]() ![]() 극장19세기까지만 해도 우리 전통 연희(演戱)에는 극장이라는 개념이 없었다. 판소리·가면극·무용·줄타기·땅재주 등은 특별한 무대가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멍석만 깔면 그게 무대였다. 따라서 극장 설비도 발달하지 않았다.한국 최초의 서양식 극장은 1902년 8월 서울 야주현(夜珠峴)에 세워진 협률사(協律社)다. 야주현은 지금의 정동 새문안교회 근처라고 전해진다. 이두현 서울대 명예교수는 저서 '한국연극사'에서 '국내 최초의 실내 상설극장이자 황실극장(국립극장)인 협률사가 개관하면서 신극사의 첫 페이지가 열렸다'고 썼다. 협률사 설치와 관련, 학계에서 대체로 받아들여지는 설은 육당 최남선(1890~1957)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협률사는 광무6년(1902년)에 경성에서 고종 황제(1852~ 1919) 즉위 40년을 기념하는 경축식을 거행하기 위해 세워졌다. 봉상시(奉常寺·제사를 주관하는 관청)의 남쪽을 터서 콜로세움처럼 벽돌로 둥그렇게 지은 소극장이었다. 유민영 단국대 석좌교수는 "판소리를 좋아했던 고종 황제는 그림과 글 등 문화에 밝은 지도자였다"면서 "협률사 내부는 한쪽에 서양식 무대가 있고 평평한 바닥에서 공연을 관람하는 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협률사 1호 공연은 '소춘대유희(笑春臺遊戱)'다. 입장권은 누런 종이로 된 1원짜리 상등표, 붉은 종이로 된 70전짜리 중등표, 푸른 종이로 된 50전짜리 하등표 등 세 가지였다. 협률사가 기생과 광대의 관리기관 노릇을 하면서 상업성을 강화하자 평판은 점점 나빠졌고 폐지하라는 상소문이 올라왔다. 1906년 4월 협률사는 문을 닫았다. 당시 협률사의 외관을 기록한 사진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같은 건물을 개보수해 만든 사설극장 원각사(圓覺寺) 사진<사진>(협률사 자리에 붉은 벽돌로 리모델링한 원각사)을 보면 건물은 원뿔형이다. 원각사에서는 1908년 11월 15일 한국 최초의 신극으로 평가받는 '은세계(銀世界)'가 공연됐다. 임방울(1904~1961) 명창의 외삼촌인 김창환(1854~1927)이 주인공을 맡았다. 출처 : 조선일보 2010.03.16 |

'•─‥그때를아십니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제1호] 한국은행 총재 - 구용서(具鎔書) 총재 6·25 피란지서 새 화폐발행 (0) | 2010.03.29 |
---|---|
[대한민국 제1호] 지폐 - 6·25전쟁 중 연합군 도움으로 日서 찍어 (0) | 2010.03.27 |
[대한민국 제1호] 전투기 조종사 - 6·25 직후 이근석 대령 첫 출격서 산화 (0) | 2010.03.23 |
[대한민국 제1호] 발전소 - 49년 목포발전소 건립, 50년 폭격으로 소실 (0) | 2010.03.22 |
[대한민국 제1호] 훈장 - 이승만 前 대통령 재임 중 훈장 1호 받아 (0) | 2010.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