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컴퓨터 => 제어판 => 시스템 에서 성능탭을 누르시면 시스템 리소스라고 이외에 internat.exe는 한영키 전환시 상태를 보여 주는 건데 별 필요 없고 이 부분이 윈3.1시절 부터 별로 언급이 안되서 충돌의 주원인입니다. 실제로 이 부분을 메모리에서 내리는 것만으로도 많은 오류가 해결되죠... 과감히 체크된 것을 지우세여...! 이제 다 하셨으면 아까 설정전의 리소스와 설정후의 리소스를 비교해 봅니다.
컴퓨터을 사용하다 보면 리소스 부족이나 메모리가 모자라서 사용할 수 없다는 메세지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 드릴께요.
일단은 자신의 리소스를 알아야 겠지요.
있습니다. 거기에 몇 %센트인지를 기억하세요. 그리고 아래사항대로 한 후에 늘어나는 리소스를 체크해 보세요. 아마도 20%정도는 향상될듯...^^ 제일 처음 부팅했을때 적어도 80%이상은 되어야 사용시에 메모리 부족이란 말이 적게 나옵니다.
1. 바탕화면의 단순화
바탕화면에 화려한 16비트 이상의 그림을 사용하고 단축 아이콘을 많이 띄어놓게 되면 시스템의 리소스가 현저하게 줄어 듭니다.
또한 해상도와 색상도를 불필요 하게 높게 설정하지 않는것도 리소스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가장 권장 할만한 해상도는 14~15인치 같은경우 800*600에 256컬러 이며,17인치 이상인 경우는 1024*768에 16비트하이컬러 입니다.
윈도우98,ME 같은 경우 "액티브 데스크탑"을 기본설정 으로 사용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 또한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는 부분입니다.
이 설정의 해제 방법은 [시작]=>[설정] =>[제어판]=>[디스플레이]아이콘을 실행하시면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창이 뜹니다. 여기서 "웹"이라는 텝을 클릭하고" "액티브데스크톱에 웹 컨텐트 표시(W)" >에 체크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 체크표시를 해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효과탭을 클릭하시면 가능한 색을 모두 사용하여 아이콘 표시라는 란이 있습니다. 이 역시 체크 표시를 해제 하세요...
그리고 시작단추 옆의 퀵런치바에 있는 불필요한 단축아이콘들도 삭제를 합니다. 이거 하나당 1k의 메모리를 잡아 먹죠...그리고 바탕화면에 불필요한 것들도 다 삭제를 하시던지 아니면 폴더를 만들어서 관리를 하세요...
2. 자신의 램이 64메가 이하인 경우
내컴퓨터 => 제어판 => 시스템 을 실행합니다.
거기서 성능탭으로 가셔서 가상메모리 란을 누릅니다.
사용자가 직접 가상 메모리 설정을 관리 란을 누르고 최대값에 자신의 램의
3배의 수를 적습니다. 64메가 인경우 192메가...
단 64메가 이상인 램을 가지고 계신 분은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리부팅 필요...
3.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을 없앱니다.
보통 시작프로그램 하나당 대충 8메가의 메모리 영역을 잡아 먹습니다.
그러니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을 없애야 겠죠...
제일 먼저 real start center를 내립니다.(가장 많은 리소스를 잡어 먹어염 ㅡ,.ㅡ)
이것은 레지스트리 수행해도 또 올라가니 프로그램에서 내리는 수 밖에 없습니다.
시작 => 프로그램 => realplayer를 실행 메뉴에서 보기=> 기본설정 으로 들어갑니다.
일반탭의 제일 아래에 보시면 startcenter 라고 있는데 오른쪽의 설정란을 누릅니다.
거기서 StartCenter사용에 체크를 지웁니다.
이제 real StartCenter가 램에서 내려 왔군요...
그다음 프로그램들은 쉽게 제거가 됩니다.
시작 => 실행 => msconfig 를 실행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레지스트리 검사 LoadPowerProfile(2개가 있으신 분은 위에꺼만 체크), TaskMonitor, System Tray, 외에는 체크들을 다 지웁니다.
여기서는 설명이 필요하겠군요...
* 레지스트리 검사 :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백업해 줍니다.
만일 자신이 레그클린이나 기타 유틸이 있으면 이 프로그램의 체크도 지웁니다.
왜냐면 레그클린 자체에 백업기능이 있으므로 중복되는 기능인 셈이죠.
* TaskMonitor : 현재 작업 하고 있는 창을 보여 줍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창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 필수!
* SystemTray :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등록 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 스피커나 기타 프로그램 실행시(리얼이나 리겟 플레쉬겟등등)상태를 보여 주는 겁니다. 필요없다면 역쉬 내려 주셔도 됩니다. 대신 볼륨 조절등은 제어판에서 하거나 직접 스피커 볼륨으로 조정하시면 되겠죠...
* LoadPowerProfile : Rundll32 파일의 설정을 하도록 합니다
=> 필수!
그외에 Office 프로그램을 까셨으면 Office 시작도 있을겁니다. 이것도 쓸모 없는 프로그램입니다. 체크 지움!
그다음 바이러스 프로그램인데...이는 선택사항입니다.
제생각에는 내리시는게 좋을 듯...왜냐면 일단 v3로 전체 체크한번 하신후에
다운로드시에 마우스 오른쪽 여시고 v3로 바이러스 체크 한번 하시는게 훨 나아여.
보통 run = sysymon32.exe, run=v3sd32.exe라고 되어있는거는 v3입니다.
나머지 바이러스 프로그램도 비슷하죠...
그외에 나머지 프로그램들도 다 체크를 지우세요...
리부팅 필요...
4. 인터넷 사용시 되도록 불필요한 창을 띄우지 않는다...
익스플로러 하나당 대충 8메가의 소스를 잡아 먹습니다. 대충 3%죠...
그리고 40%이하로 내려갈때 리소스 부족이란 메세지가 나오는데...
브라우져 창 2개 띄우고 리겟이나 플레쉬겟(이것은 다운파일 하나당한번에 브라우져 5개를 띄운 효과 3x5 = 15%)으로 동시에 파일을 3개 다운받는다고 가정하면...
보통 기본 80%에서 창 2개면 6%에 다운 45%를 합치면 29%의 리소스가 남게 됩니다... ㅡ,.ㅡ
그러니 플레쉬겟이나 리겟의 경우 동시 다운로드를 2개이상 하지 않는게 좋아요... 이상태에서 미디어 플레이어(6%)라도 실행시키면...컥!
5.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없애자!
윈도우에 프로그램들은 ini와 dll파일들을 필요로 하는데 이경우에도 부팅시에 로딩되어 리소스들을 까먹습니다. 불필요한 프로그램들은 없애는게 좋아여...
그리고 폰트 파일도 마찬가지 입니다.
우선 압축풀기는 집엔롤과 알집 두개면 충분합니다. 밤톨이나 윈라 윈집 이런거는 과감히 지우세여... 그리고 알집으로 crc에러나면 집엔롤로 푸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어받기는 flashget과 reget두가지 외에는 다 지우세여...
그리고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우선 windows mediaplayer 6.4가 7.0보다 메모리도 훨 작게 잡아 먹어여...그리고 안정적이죠...코덱만 깔아주시면 꼭 7.0아니라도 7.0 아니면 안된다는 곳 가서도 실행됩니당...
그리고 개인적으로 사사미 프로그램을 추천합니다. 자막처리라던지 메모리도 덜 잡아먹고 좋은 플레이어 입니다. 그리고 real을 보실려면 real player가 있어야 겠죠... 나머지 프로그램들은 과감히 삭제 시킵니다.(물론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에서 하세요...)
그리고 불필요한 캐드 프로그램이나 안하는 게임들은 과감히 삭제 시키시구요...
'•─‥‥‥컴퓨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에 유용한 사이트 모음이예요 (0) | 2009.10.28 |
---|---|
xp 최적화 팁 모두모두 정리 (0) | 2009.10.27 |
바탕화면에 웹사이트 아이콘 못만들게하기 (0) | 2009.10.20 |
일일 트래픽(전송량)이란 ? (0) | 2009.10.17 |
윈도우98 성능 UP 팁모음 Best 10 -ⓔ (0) | 2009.10.16 |